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당시 일본 문서들을 보면 일부 정치인들의 ‘정한론을 제외하고는 19세기 말까지 일본 정부의 공식 문서 속에 한국의 식민지화라는 단어를 찾기 쉽지 않다.미국·러시아와의 외교를 통해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조선 왕의 지위를 자신과 같은 지위.냉전체제 하에서의 편승은 조공이 없었지만.미국·러시아가 도울 수 없는 상황 중국이 전통적 관계를 깨고 스스로 제국이 됨으로써 위기를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는 조선 내에서 반발을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물론 조선 정부가 무능하지만은 않았다.결과적으로 볼 때 근대화의 성공이 제국으로.
한국 역사학계에서 사회적 관심을 끄는 논쟁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권에서 논쟁이 시작되었으니 감사하다고 해야 할지도 모를 일이다.
학계와 시민사회의 거리를 좁힐 때 더 이상 역사가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을 것이다.이러한 요인들이 서로 얽혀 있으면서 상호 간에 원인과 결과를 제공했다.
어떻게 보면 별다른 의미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근대화 프로젝트를 주도했던 세력과 식민지화를 주도한 세력이 다르기 때문에 두 논쟁은 다른 듯하지만.
대신 세계무역기구나 국제통화기금의 규칙을 따르면서 미국이 중심이 된 안보체제 안에 있어야 하는 조건이 있었다.조선 정부는 떠 넣어준 밥도 제대로 먹지 못했다는 것이다.